반응형
한글 문서나 엑셀문서를 수정 후 저장하면 확장자에 rsmbk가 붙는 이유?
예) 장미.hwp -> 문서를 수정한 후 저장하면 -> 장미.hwp.rsmbk
**** 결론 : 랜섬웨어에 걸린 것이 아닙니다!!!!!!
PC내 악성코드를 탐지 및 격리하는 APT(지능형 지속 위험) 보안프로그램 동장 중 발생되는 임시 저장 파일이며, 랜섬웨어 감염이 아님!
<랜섬웨어 증상>
1. 감염 대상 데이터 파일이 임의의 확장자로 변경되고, 암호화되어 복호화 불가
=> 고도화된 암호화 기법 사용으로 원상태의 파일로 복원이 거의 불가함
2. 랜섬노트(Readme.txt) 발생 ☞ 금전 지불 유도를 위한 관련 해커 연락방법 등이 기재
3. PC 바탕화면이 랜섬노트 감염 관련 이미지로 변경 등
<랜섬웨어 감염 예방>
1. 운영체제ㆍ응용프로그램ㆍ펌웨어 등을 포함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
2.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, 실시간 감시와 정기적인 정밀검사 실시
3.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첨부파일이나 웹사이트(URL) 열람 자제
⇒ 이력서로 위장한 해킹메일내 첨부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
※ 메일내용: 일반적인 지원서 제출 메일로 위장, 첨부파일명: 지원자명.zip
4.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주의
⇒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시 주의
5.개인별 중요 업무자료는 정기적으로 오프라인 백업
반응형
'컴퓨터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 입력 및 편집관련 단축키 모음 (0) | 2023.08.02 |
---|---|
엑셀 셀선택 단축키 모음 (0) | 2023.08.02 |
인터넷(엣지,크롬) 사용 중 복사하기 하면 창 닫힘 해결 팁 (0) | 2023.04.28 |
한글 먹통 실행안됨, 무반응 증상 해결방법 (0) | 2023.04.18 |
이미지 배경제거 사이트(동영상 배경도 지워버림) (0) | 2023.04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