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컴퓨터 꿀팁

rsmbk확장자, 랜섬웨어? 랜섬웨어 증상 및 예방법

by 머니팡 2023. 7. 18.
반응형

한글 문서나 엑셀문서를 수정 후 저장하면 확장자에 rsmbk가 붙는 이유?

예) 장미.hwp -> 문서를 수정한 후 저장하면  -> 장미.hwp.rsmbk 

 

****  결론 : 랜섬웨어에 걸린 것이 아닙니다!!!!!!

PC내 악성코드를 탐지 및 격리하는 APT(지능형 지속 위험) 보안프로그램 동장 중 발생되는 임시 저장 파일이며, 랜섬웨어 감염이 아님!

 


<랜섬웨어 증상>

1. 감염 대상 데이터 파일이 임의의 확장자로 변경되고, 암호화되어 복호화 불가

    =>  고도화된 암호화 기법 사용으로 원상태의 파일로 복원이 거의 불가

 

2. 랜섬노트(Readme.txt) 발생 금전 지불 유도를 위한 관련 해커 연락방법 등이 기재

 

3. PC 바탕화면이 랜섬노트 감염 관련 이미지로 변경


 

<랜섬웨어 감염 예방>

1. 운영체제ㆍ응용프로그램ㆍ펌웨어 등을 포함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

2.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, 실시간 감시와 정기적인 정밀검사 실시

 

3.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첨부파일이나 웹사이트(URL) 열람 자제

     ⇒ 이력서로 위장한 해킹메일내 첨부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

     ※ 메일내용: 일반적인 지원서 제출 메일로 위장, 첨부파일명: 지원자명.zip

 

4.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주의

     ⇒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시 주의

 

5.개인별 중요 업무자료는 정기적으로 오프라인 백업

 
반응형

댓글